대림 미술관 미스치프 MSCHF

대림 미술관은 popularity를 추구하는 큐레이팅을 한다. MSCHF는 ‘고상한 척 하는 것들을 소름 끼치게 싫어하는‘을 주제로 창조 혹은 예술 활동으로 최근 유명해졌다. 둘은 잘 어울린다. 다시 봄이 되었고 주말이 되자 설레인다. 자전거도 탈 겸 봄을 여는 관람으로 대림 미술관의 ‘지나치게 유명한’ 미스치프 MSCHF 관람을 하기로 했다. 표를 예매하고 전시 설명을 듣기 위해 대림 미술관 어플을 다운로드 했다.

요즘 내가 ‘왜 그리나‘를 화두로 삼아 읽고 있는 ’불온한 것들의 미학‘의 첫 세션은 위작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AI란 이름으로 세상을 ‘지어내는 것’이 단 몇초만에 가능하다. MSCHF는 본인이 판단하기에 ‘미적으로 가성비 나쁜’ 작품을 투자 목적으로 주고 받으며 콜렉션 하는 시대를 ’값어치 없는 위작의 예술성‘으로 풍자하고 싶었던 것 같다. 지금 읽고 있는 책, 불온한 것들의 미학에는 예술의 가치에 대해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글귀가 많은데 그 중 와닿은 것, ‘해석될 자격이 있여야 예술이다 by 단토’이다. 이번 전시에서 본 미스치프 MSCHF가 제작한 데미안 허스트의 추상화는 ’해석될 자격‘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내가 본 이 작품의 작품성은 아마도 ‘콜렉터와 사치 갤러리에 대한 공격적 시선‘이었다.

전시에 대해 사전 정보가 없었던 탓일까. 전체적으로 그냥 좋은 정도가 아니라 꽤 좋았다. 다른 어떤 전시보다 작품에 화려한 서명이 많은 MSCHF 전시다. 패러디에 무슨 서명이 이렇게 많나 싶고 이런 패러디 아무나 할 것 같아 보기에 따라 저렴하고 쉽고 한편 짜증남을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해석’과 ‘선택’과 ‘최초의 시도’에 관한 가치가 곧 현대 예술의 가치라고 생각하는 나는, 스스로 이토록 창조적이지 못하다. MSCHF의 시도가 최초라는 측면에 전적으로 통쾌하게 공감한다. 전시, 재미 있었다.

Similar Posts

  • 옳다는 게 위로가 된다

    사람은 취약하다. 사람의 취약성을 아끼는 마음은 그러나 때로는 내 취약함을 합리화하는 방패가 되기도 한다. 유혹에 약할 수도 있고 의지가 약할 수도 있다. 순간의 즐거움을 가장 우선 순위에 놓고 사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더 많은 책임을 요한다. 사람은 상황 속 자신의 모습을 평가하는 재능이 있다. 미울지 고울지 속일 수는 있어도 스스로는 끝끝내 안다. 취약한 사람의 본성을 마주하고…

  • | |

    이케아 쿵스포르스로 완성한 작업실

    작업실에서 제일 예산을 절약한 부분이 탕비실이다. 부엌이라고 말하긴 민망한, 간단한 설겆이 정도 하고 비품 보관하는 목적의 공간이다. CCTV 관련 장비들이 들어와야 하고, 온수 보일러도 들어와야 했다. 반투명 문으로 오가는데 문제는 상부장이었다. 오픈 키친도 아니고 다이닝 공간도 아니니 무난하게 상부장을 하면 먼지도 덜 앉고 실리적일 수는 있으나 모양도 마음에 들지 않고 무엇보다 공간이 좁아서 답답해보이는 게…

  • 봄, 가드닝과 학회에 바빴던 4월

    봄은 봄, 4월 사월이 되자 느티나무에 새 잎이 올라왔다. 비가 온 다름 날 갑자기 모든 가지마다 올라오는 새 잎들에 여러번 맞이 했던 봄이지만 아름다움이 생소한 수준이었다. 바람이 많이 부는 봄이라 살랑이는 연두 잎들이 참 아름다웠다. 정원에 찾아온 4월 내가 심어놓은 것이 많은 정원이니 겨우내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가 다시 올라오는 새싹에 반가움이 무한정이다. 여기엔 쟤가 있었고…

  • | |

    단순하지 않은 여름; 뮤지엄산 곰리; 희랍어시간

    여름의 풍경은 싱그럽기도 하고 으리으리하기도 하다. 자연의 지배를 받기에 이런 햇살과 이런 온도라면 사람은 그저 유유자적하고 넉넉할 것 같은데 올해 여름은 특별할 정도로 감각이 예민하게 느껴진다. 오랜만에 뮤지엄 산에 다녀왔다. 명상관을 처음 들어갔는데 소리 파형을 온몸으로 느끼는 기분은 공간이 주는 감흥에 비할바가 아니었다. 여름의 뙤약볕이 묘하게 느껴지는 공기도 좋았다. 기획전시 곰리전은 특별했다. 전세계에서 최초로 안도타다오와…

  • | | |

    펜할리곤스 미스터톰슨; 마담 보바리; 화양연화; 박지나 작가

    펜할리곤스 향수 스코틀랜드 방문했다가 귀국길에 산 것들 중 하나가 펜할리곤스 포트레이트 시리즈다. 이 시리즈 매력은 캐릭터가 죽으면 단종되는 세계관을 갖고 있다는 거다. 향이 가지는 매력과 스토리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단번에 느낄 수 있다는 점도 좋다. 펜할리곤스는 니치 향수 브랜드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데 라인업이 지나치게 다양해서 신기할 정도이다. 아무리 향수만 만드는 브랜드라도 이렇게까지 다양하게 어떻게 개발하고 사나…

  • 목질화 되고 있는 오스테오스펄멈

    오스테오스펄멈은 다년초이다. 아래쪽이 목질로 자라서 둔덕을 이루며 자라기도 하고 덩굴처럼 옆으로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꽃의 색깔은 짙은 보라색과 옅은 보라색, 핑크, 자색, 노란색, 흰색, 흰색과 보라색이 섞여 있는 것 등 다양한데 우리 아이는 짙은 보라색이다. 데이지처럼 생긴 꽃이 꽤 오랫동안 피고 지고를 반복한다. 여름 더위에 힘들어한다. 직광을 피해 양지바른 곳에. 선선하게. 베란다에서 겨울을 보낸다. 섭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