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계학회-식품면역치료-강의

2021년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학회도 온라인 학회로 hybrid way로 개최되었다. 나는 심포지스트로 식품알레르기 면역치료에 대해 강의하기 위해 서울 스위스그랜드 호텔에 다녀왔다. 몇년전 식품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치료를 해야하는가?에 대한 주제를 두고 pros and cons를 준비했었는데 오늘의 주제는 where we are.이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케이스 몇개를 소개하고 고민이 되는 포인트와 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등 기전이나 연구적 내용을 벗어나 임상적으로 도움이 되기 위한 방향으로 준비했었다. 오랜만에 30분 강의로 꽤 긴 강의를 준비했는데 내가 가장 흥미롭게 공들여 진료를 보고 정리중인 주제라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운전하러 다니느라 다른 강의들을 듣지 못했던 건 아쉽다.

Similar Posts

  • EAACI 2025에 다녀왔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매년 열리는 유럽알레르기면역학회 EAACI 참석은 펠로우 때 이후로 빠지는 법이 없었는데 코로나 이후로 hybrid로만 건성건성 fu 하다가 이번에 정말 오랜만에 참석했다. 학회도 오랜만이고 유럽도 오랜만이었다. 유럽의 분위기라는 게 있듯, 유럽 학회만의 연구 분위기가 있다.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런 무드에서 내가 취해야할 자세를 생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회장에서 정경용 박사님 만났고 호두 재조합 항원에 대한…

  • 봄, 가드닝과 학회에 바빴던 4월

    봄은 봄, 4월 사월이 되자 느티나무에 새 잎이 올라왔다. 비가 온 다름 날 갑자기 모든 가지마다 올라오는 새 잎들에 여러번 맞이 했던 봄이지만 아름다움이 생소한 수준이었다. 바람이 많이 부는 봄이라 살랑이는 연두 잎들이 참 아름다웠다. 정원에 찾아온 4월 내가 심어놓은 것이 많은 정원이니 겨우내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가 다시 올라오는 새싹에 반가움이 무한정이다. 여기엔 쟤가 있었고…

  • 코로나 19 확진, 경증은 아니었다.

    소아 호흡기알레르기 분과 진료를 보면서 2019-2021년까지 유래 없는 수준의 소아 호흡기 환자의 급감을 경험했다. 대학병원에 있는 자가 진료 대상자가 줄면 그만큼 연구에도 여유 있는 시간을 갖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2020-21년에 걸쳐서 SCIe급에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로 세개 정도 논문이 출간되었고 공저자로도 여러 논문이 나왔고 학회 임원급 활동을 하면서도 정신적 여유가 있었다. 2022년이 되면서 환자들은 다시…

  •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인터뷰

    약업신문 opinion에 실릴 인터뷰를 했다.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내용이다. 아래 내용 전문. “먹는 것을 조절하면 아토피피부염이 호전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먹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중등증 이상의 소아 환자 일부분일 뿐이다. 꾸준한 치료와 환경 관리, 생활 습관 교정 등이 더 중요하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정민 교수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의 발달로 치료 환경이 좋아졌다며, 환자들이 지금 보다 더 좋아질…

  • 온라인 유럽알레르기면역학회 참석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산하 식품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연구회에서 심포지움을 오프라인으로 취소한 대신에 웹강의를 주최하였다. Mark Boguniewicz (US) 교수님이 The paradigam shift of pediatric atopic dermatitis with dupilumab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사전에 교수님의 최근 논문 3개 정도와 allergy x월호에 구성되었던 new biologics등을 리뷰하였고 강의는 사전에 공유된 링크를 통해 zoom으로 참석하였다. COVID-19가 바꾼 풍경이다. 주제는 dupilumab을 난치성 아토피피부염에 사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