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평- 모스크바의 신사

한달여 읽었던 모스크바의 신사. 긴 소설인데 끝나자마자 다시 처음부터 읽고 싶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는 아니고, 끝난게 아쉬웠다. 엔딩이 아쉬웠던 것도 아니다. 아름다운 엔딩으로 끝난 드라마라도 주인공과의 이별이 싫은 흠뻑 빠진 이야기가 있기 마련이다. 유명인사들이 추천했다고 하는데 여성 독자 입장에서는 읽는 내내 완벽하게 멋진 남자랑, 그 남자가 늙을 때까지 연애하는 기분이다. 그래서 끝나자마자 다시 처음부터 또 읽고 싶었을수도.

코로나 19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에 출간된 책인데 소설은 인문학적 소양과 매력있는 성품을 동시에 가진 젠틀맨이 역사적 소용돌이에 휘말려 호텔에 남은 여생을 감금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우리네 역사로 이야기하면 귀족이 유배된거다. 집밖으로 나올 수 없는 감금형과 함께. 우리는 지금 여행을 못가는 잃어버린 2년을 안타까워하고 있으나 소설속 주인공은 남은 평생 제한된 지루한 환경에서 오직 ‘태도’와 ‘관점’ 그리고 ‘이야기’와 ‘관계’로 독자를 팬으로 만드는 삶을 살아간다. 주인공은 결국 가공의 인물이니 이토록 매력적인 주인공을 탄생시킨 작가가 궁금하다. 에이모 토울스 Amor Towles. 보스톤 출신, 한 소설에 4년의 시간을 투자한다고. 대표적인 다른 소설인 ‘우아한 연인’도 읽어보고 싶어졌다.

Similar Posts

  • |

    올라운드 커피 그라인더, 말코닉 X54홈

    갑자기 커피 그라인더에 흥미가 생겼다. 매일 아침 커피 한잔. 현대인 중 커피 한잔 없이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 사람들은 분명 과반수 미만이리라. 분주한 아침 커피를 나는 테팔에서 나온 자동 커피머신인 테팔 에센셜 머신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 BWCK 행사에서 젬스가 드롱기 에스프레소 머신을 받았는데 그것도 박스 째로 창고에 보관해둔 터였다. 커피에 대한 취향도 변한다. 코로나 19에…

  • |

    라이카 D-lux7을 샀다. 갑자기?!

    사실상 A컷은 모두 젬스가 찍기 때문에 나는 오히려 결과가 없는 촬영을 하다보니 그동안 카메라를 거의 들고 다니지 않았고 덩달아 블로그에 남기는 기록도 소원해졌다. 그나마도 후지 E3를 들고 다닐 때까지 차라리 사진을 찍었구나 싶어서 더 작고 더 예쁜 것을 차라리 사자 싶어 고른 라이카 D-lux7이다. 초기에 실버 모델만 있었기에 중고 물건은 실버가 많더라. 나는 블랙으로 샀다….

  • |

    25년 1월의 독서: 면도날, 12.12 쿠데타와 나, 일류의 조건, 도쿄 트렌드 인사이트

    면도날, 서머싯 몸 작가 1인칭 시점으로 세계대전 후, 경제공황을 지나는 시점의 인물들이 그려진다. 옛 시대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각기 다른 삶이 묘사되는 모습에서 요즘의 나와 주변 인물들과 대입되는 면들이 많이도 보였다. 고전답다. 사람의 이런 저런 모습을 많이 보고 겪은 지금의 내게, 고전 소설은 과거보다 더 와닿는 면이 있다. 보여지는 시대인 것은 그때도 지금과 다르지 않았다. 그저…

  • |

    구두와 운동화

    나는 원래 운동화를 신는 사람이 아니었다. French sole에서 때마다 플랫슈즈를 무더기로 샀고 이십대 때 병원 근무 내내 그것만 신었다. 플랫슈즈 신고 유럽 여행도 홀로 다녔다. 밑창이 떨어져서 어느 호텔에서 버린 기억도 있다. 근무도 여행도 모두 플랫슈즈를 사고 버리고 하며 거의 15년을 신었던 것 같다. 내가 30대까지 서식했던 아주대 병원에서는 의료진은 대개 구두를 신었다. 특히 의사…

  • |

    서평- 김영하의 검은꽃(개정판)

    몇해전부터 가장 좋아하게 된 작가 중 한명이 김영하인듯하다. 우리 세대들에게는 방송인으로 익숙했던 그이기에 나는 시절 지나 뒤늦게 찾아 읽게 된다. 주로 에세이를 읽다가 처음으로 읽게 된 김영하의 소설이 검은 꽃이다. 이 소설은 2003년 초판이 나왔고 올해 작가가 직접 개정판을 냈다. 2003년이면 본과 2학년때다. 김영하의 소설은 커녕 그 때 무슨 소설을 한권이라도 읽기나 했나 싶다. 내…

  • |

    서평- 최인철의 프레임

    심리학 분야 고서 같은 책인 최인철의 프레임을 읽었다. 어디선가 다 들어본 말인 것 같고, 어르신들 흔히 주고받는 카톡형 조언 같기도 하지만, 막상 책을 읽어보면 끄덕이게 되는 부분이 많다. 우리가 좀 더 지혜롭게 살기 바램으로 ‘프레임’을 이해하라 한다. 책 속의 마지막 문장으로 저자의 견해를 비교적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지혜로운 사람의 11가지 프레임 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가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