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증례 보고 출간

환자 증례 보고를 의학에서는 case reports라고 한다. 대개는 새롭고 약간 신기한 진단, 치료를 공유하기 위해 작성된다. 최근 2년간 세명의 잊지 못할 환자가 있었다. 우유, 계란, 밀을 먹으면 쇼크가 오는 식품알레르기를 진단받고 꽤 오랫동안 금식해온 초등학생 친구들로 중증 반응이 심각하고 소량 노출에도 응급실 내원을 반복했던 환자였다.

최근 신의료기술로 등재된 구운 계란과 우유를 활용한 경구면역치료를 이들 환자에게 모두 적용했었다. 그것만 있었으면 아마도 증례 보고감은 아니었을텐데 이 환자들은 모두 밀에도 식품알레르기가 심하여 ‘구운’, 소위 베이킹에 매우 제약이 있었던 환자들이다. 이들을 치료해서 탈감작, 즉 원인 식품을 먹어도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상태로 만드는 데 성공한 사례 보고서가 AARD지에 막 출간되었다. 내일은 이를 토대로 세브란스 알레르기 연구소 심포지엄에 식품 경구면역치료에 대하여 강의를 하러 간다.

22년 연세알레르기 연구소 심포지엄 강의록 일부

Similar Posts

  • 2024년 주요 연구 실적들

    어수선한 상황에서 주저자로 원저 세개를 냈고 두개는 출간이 되었고 한개는 출간을 앞두고 있다. 논평 한개를 냈고 출간을 앞두고 있다. 공저자로 한개의 원저가 출간이 되었다. 1. 식품알레르기 소아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 특성 AAIR ::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2. 식품라벨의 혼합 위험 알림 사용이 옳은가? :: JKMS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 어떻게…

  • 가을은 빠르다

    가을은 빠르다. 좋아서도 빨리 가고 끝을 향해 가기 때문에도 빠르게 느껴진다. 생일이 10월이라 가을이 되면 건강검진을 챙기고 있는데 올해는 뜻밖에 직장에서 작은 종양이 발견되어서 2주간 bowel prep을 세번에 걸쳐 하고 EUS로 종양을 제거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 덕에 몸무게가 순식간에 50kg 미만까지 떨어졌고 피곤한 나날이 이어졌다.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면 모든 게 불행 중 다행이긴 하다. 그렇게 수척해진…

  • 교실 연수 강좌

    교실 연수 강좌를 2년만에 zoom으로 재개했다. 나는 소아 천식의 새로운 치료 지침에 대해서 강의했다. 마지막 세션은 은퇴하시는 김황민 교수님의 시간이었다. 교수님께서는 여러 감사드리는 분들을 일일히 호명하며 긴 34년의 교수 생활에 마침표를 찍으셨다. 난 시원섭섭해. 순간순간 즐겁게 살아. 그러면 섭섭하지만은 않아. 하면서 호쾌하게 웃으시는 교수님을 보며 매일이 마지막인 것 처럼 진료보자. 떠날 때 섭섭해도 시원한 마음으로…

  • EAACI 2025에 다녀왔다;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매년 열리는 유럽알레르기면역학회 EAACI 참석은 펠로우 때 이후로 빠지는 법이 없었는데 코로나 이후로 hybrid로만 건성건성 fu 하다가 이번에 정말 오랜만에 참석했다. 학회도 오랜만이고 유럽도 오랜만이었다. 유럽의 분위기라는 게 있듯, 유럽 학회만의 연구 분위기가 있다.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런 무드에서 내가 취해야할 자세를 생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회장에서 정경용 박사님 만났고 호두 재조합 항원에 대한…

  • 교토학회 온라인으로 듣기

    내가 가장 좋아하는 학회는 매년 아시아 지역에서 열리는 알레르기 학회이다. 시차도 적은 편, 비행도 짧고 규모도 너무 크지 않아서 체력적으로 듣기가 좋다. 올해는 게다가 교토에서 열릴 예정이었기 때문에 교토의 가을을 보겠다고 2년전부터 기대하고 있었는데 코로나로 하늘이 막히고 온라인으로 학회를 대신했다. 너무나 아쉬웠다. 21년은 서울에서 열리는데 많은 colleague들이 서울을 오고 싶어했던 기억이 있다. 우리 모두 자유로워지길…

  • 춘계학회-식품면역치료-강의

    2021년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학회도 온라인 학회로 hybrid way로 개최되었다. 나는 심포지스트로 식품알레르기 면역치료에 대해 강의하기 위해 서울 스위스그랜드 호텔에 다녀왔다. 몇년전 식품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치료를 해야하는가?에 대한 주제를 두고 pros and cons를 준비했었는데 오늘의 주제는 where we are.이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케이스 몇개를 소개하고 고민이 되는 포인트와 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등 기전이나 연구적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