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AIR 심포지움 온라인 강의

2020년 AIR 심포지움. 식품알레르기의 molecular approach에 대해서 강의했다. 진단, 미래 치료에 대한 이슈까지 다뤄 준비했다. Zoom으로 30여분간 진행된 강의. 청중을 보지 못하는 강의라 느낌은 반쪽이다. 이건 정말 별로다.
2020년 AIR 심포지움. 식품알레르기의 molecular approach에 대해서 강의했다. 진단, 미래 치료에 대한 이슈까지 다뤄 준비했다. Zoom으로 30여분간 진행된 강의. 청중을 보지 못하는 강의라 느낌은 반쪽이다. 이건 정말 별로다.
의대에는 담임반 제도가 있다. 진로의 방향이 다양하고 다른 전공에 비해 많은 시험과 암기를 소화해야 하다 보니 평생 인정받던 학생이 절망에 놓이기도 하는 터에 마련한 제도가 아닐까 싶다. 작년에 담임반 학생을 맡아달라는 전화를 받고 내가 무슨 담임반 교수가 되나 싶었는데 올해 두명이 더 추가되어 네명의 담임반 학생을 꾸리는 스승?이 되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의대 교수가 된…
소아 호흡기알레르기 분과 진료를 보면서 2019-2021년까지 유래 없는 수준의 소아 호흡기 환자의 급감을 경험했다. 대학병원에 있는 자가 진료 대상자가 줄면 그만큼 연구에도 여유 있는 시간을 갖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2020-21년에 걸쳐서 SCIe급에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로 세개 정도 논문이 출간되었고 공저자로도 여러 논문이 나왔고 학회 임원급 활동을 하면서도 정신적 여유가 있었다. 2022년이 되면서 환자들은 다시…
국내 논문은 강원 지역 아나필락시스 환자를 일선에서 경험하는 응급 구조사 및 보건 교사의 인지도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해외 논문은 개털 특이 IgE 양성(감작) 영유아 환자의 기타 흡입항원에 대한 감작도와 임상 양상을 ISAC을 이용하여 성분항원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산하 식품알레르기 아토피피부염 연구회에서 심포지움을 오프라인으로 취소한 대신에 웹강의를 주최하였다. Mark Boguniewicz (US) 교수님이 The paradigam shift of pediatric atopic dermatitis with dupilumab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다. 사전에 교수님의 최근 논문 3개 정도와 allergy x월호에 구성되었던 new biologics등을 리뷰하였고 강의는 사전에 공유된 링크를 통해 zoom으로 참석하였다. COVID-19가 바꾼 풍경이다. 주제는 dupilumab을 난치성 아토피피부염에 사용한…
2021년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학회도 온라인 학회로 hybrid way로 개최되었다. 나는 심포지스트로 식품알레르기 면역치료에 대해 강의하기 위해 서울 스위스그랜드 호텔에 다녀왔다. 몇년전 식품알레르기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치료를 해야하는가?에 대한 주제를 두고 pros and cons를 준비했었는데 오늘의 주제는 where we are.이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케이스 몇개를 소개하고 고민이 되는 포인트와 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등 기전이나 연구적 내용을…
매년 열리는 아시아소아호흡기알레르기 국제학회. 올해는 북경이었고 식품알레르기 관련 강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