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국(라임라이트) 키우는 법

올해 겨울에 마른 꽃 하나 달고 흙마저 뿌리에서 쏟겨서 인터넷 주문으로 도착한 목수국이지만 강인한 생명력으로 유명한 아이답게 무심하게 베란다에 던져두었더니 초봄에 새싹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베란다로 옮기고 액비도 적절하게 챙겨주며 키우고 시작했다. 장점은 생명력과 내한성. 단점은 뿌리를 깊게 내려서 정원이 아닌 화분에 심는다면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점. 하지만 나는 수국을 워낙 좋아해서 일단 키워보기로 했다.

마른 채로 달고 온 꽃은 그냥 두었다가 새싹 올라오는 모양을 보고 강전지해주었다. 노지만 못하겠지만 햇볕이 비교적 잘드는 남향 창가에 두었다. 여름 석양 빛은 피하는 편이 좋고 더워질 수록 낮에 물을 주기보다는 아침 저녁으로 주는 것이 좋다고 했다. 꽃이 필때는 비료도 물도 부지런히 챙겼다. 겨울을 잘 보내야 꽃을 수월히 보기 때문에 겨울에는 얼지 않는 정도(월동 온도가 무려 영하 25도이다)에서는 가능한 춥게 두는 게 좋단다.

6월초 꽃대가 보이기 시작했더니 한달에 걸쳐서 꽃이 폈다. 비루한(?) 가지도 세월 쌓아 통통해지면 좋겠다.

Similar Posts

  • 옳다는 게 위로가 된다

    사람은 취약하다. 사람의 취약성을 아끼는 마음은 그러나 때로는 내 취약함을 합리화하는 방패가 되기도 한다. 유혹에 약할 수도 있고 의지가 약할 수도 있다. 순간의 즐거움을 가장 우선 순위에 놓고 사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더 많은 책임을 요한다. 사람은 상황 속 자신의 모습을 평가하는 재능이 있다. 미울지 고울지 속일 수는 있어도 스스로는 끝끝내 안다. 취약한 사람의 본성을 마주하고…

  • 대림 미술관 미스치프 MSCHF

    대림 미술관은 popularity를 추구하는 큐레이팅을 한다. MSCHF는 ‘고상한 척 하는 것들을 소름 끼치게 싫어하는‘을 주제로 창조 혹은 예술 활동으로 최근 유명해졌다. 둘은 잘 어울린다. 다시 봄이 되었고 주말이 되자 설레인다. 자전거도 탈 겸 봄을 여는 관람으로 대림 미술관의 ‘지나치게 유명한’ 미스치프 MSCHF 관람을 하기로 했다. 표를 예매하고 전시 설명을 듣기 위해 대림 미술관 어플을 다운로드…

  • | |

    내 베스파 프리마베라 어느덧 1주년

    은퇴 생각해서 절약하고 저축해야 한다는데 나의 구매력은 쉽게 잠재워지지 않는다. 작년 가을 베스파 매장에 들어간 나는 빨간색 베스파 프리마베라, 그것도 온통 빨간 레드 프로덕트 베스파 프리마베라를 구입했다.  베스파 프리마베라 구입에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첫째, 우리 병원은 매주 1회 요일제를 운영한다. 차를 가지고 출근할 수 없는 날인데 자전거로 가고 싶어도 시골이라 인도가 없는 구간이 너무 많아…

  • 정원에 추가로 심은 식물들

    여름이 되자 델피늄과 작약이 모두 졌고 레이디 인 레드(자엽국수나무)도 꽃이 지고 휴게라는 붉어진다. 은사초는 무럭무럭 자라고 털수염풀은 정말 쑤우욱~ 자랐다. 아직 엔들리스 썸머 수국은 어려서 꽃대만 물고 있는 상태로 정원이 조금 심심해졌다. 몇군데 더 심었으면 싶어 식물원에 갔다. 라임색과 보라색을 좀 더 넣었으면 싶었다. 제일 눈에 띈 것은 폴스타 수국. 수형이 방방하게 동그랗고 화사한 게…

  • 목질화 되고 있는 오스테오스펄멈

    오스테오스펄멈은 다년초이다. 아래쪽이 목질로 자라서 둔덕을 이루며 자라기도 하고 덩굴처럼 옆으로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꽃의 색깔은 짙은 보라색과 옅은 보라색, 핑크, 자색, 노란색, 흰색, 흰색과 보라색이 섞여 있는 것 등 다양한데 우리 아이는 짙은 보라색이다. 데이지처럼 생긴 꽃이 꽤 오랫동안 피고 지고를 반복한다. 여름 더위에 힘들어한다. 직광을 피해 양지바른 곳에. 선선하게. 베란다에서 겨울을 보낸다. 섭씨…

  • 코로나 19 확진, 경증은 아니었다.

    소아 호흡기알레르기 분과 진료를 보면서 2019-2021년까지 유래 없는 수준의 소아 호흡기 환자의 급감을 경험했다. 대학병원에 있는 자가 진료 대상자가 줄면 그만큼 연구에도 여유 있는 시간을 갖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래서 2020-21년에 걸쳐서 SCIe급에 주저자 혹은 교신저자로 세개 정도 논문이 출간되었고 공저자로도 여러 논문이 나왔고 학회 임원급 활동을 하면서도 정신적 여유가 있었다. 2022년이 되면서 환자들은 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