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카스 움베라타 5년차

잎이 마르기 시작했다. 잎이 마르면 대개 수분이 부족해서라고 하는데 물을 줘도 개선이 안되었다. 분갈이 한지 2년차라 엎을 필요는 없지 싶은데 오히려 너무 커서 흙이 딱딱해 물이 고르게 안가나 싶기도 했고 전체적으로 물 주는 게 소홀했나 싶었다. 그러다 문득 응애를 앓은 적이 있어 혹 재발일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약을 뿌리고 닦아보니 묻어나는 갈색 ㅠ 응애가 재발했다. 초기엔 참 잘 안보인다. 2020년 8월이었다. 18년 겨울경 이사를 하면서 입은 냉해, 19년 여름에 처음 찾아온 응애. 그 이후 일년차. 회복되었던 잎들을 속상한 마음으로 다 떼내고 약을 뿌렸다.

응애 발견 ㅠ. Aug 9, 2020

하지만 20년 여름과 가을을 베란다에서 보내며 완전히 부활한 움베라타였다. 잎이 마치 호박잎 마냥 자라나서 눈길을 끌던 풍성함이었다. 겨울을 베란다에서 보낼 수 없기에 실내로 들인지 한달이 지났을까. 다시 응애는 재발했다. 지난 겨울 나는 허리 통증을, 젬스는 어깨 통증을 앓았고 급기야 젬스가 수술을 하면서 화분을 옮겨 물 샤워시켜주는 건 불가능해졌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아 응애는 재발했다. 응애는 통풍이 불량하면 생긴다. 종종 분무만 해줘도 예방이 된다고 하는데 워낙 물 주는데 인색한 편이기도 했지만 화분이 무거웠기에 베란다를 떠난 이후 물 샤워시켜주는 게 늘 일이었고 건조한 실내에 둔채 뿌리에만 주는 물에 녀석은 늘 갈증을 느꼈다.

처음 올 때 모습. July 8, 2017

또다시 잎을 모두 제거했고 약을 뿌리고 베란다에 내놓을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예상했던대로 휘카스 움베라타는 냉해를 입기 시작했다. 뻔히 알면서도 어쩔 수 없었던 지난 겨울의 선택이었지만 잎이 거뭇거뭇 타들어가는 것을 보니 마음이 아팠다. 그대로 두면 죽는 게 보이던 상황. 우리집 휘카스 움베라타는 젬스와 내가 만나 처음 양재꽃시장에 가서 차에 싣고 데려왔던 친구다.

이사 직후 찍은 사진 속 키가 많이 자란 휘카스 움페라타. Feb 27, 2020

그때부터 뿌리를 내려 키가 많이 컸는데 강원도로 이사 후 겨울을 베란다에서 보내기 힘들고 실내에선 응애가 끼면서 이중고가 시작이 되었다. 결국 차디찬 겨울 한가운데 좋지 않은 컨디션을 뒤로하고 분갈이를 단행했다. 뿌리는 자비 없이 가위를 들고 잘랐고, 화분은 좀 더 작은 곳으로 옮겼다. 어차피 두면 추위에 죽을 상황이란 생각이었다.

새 잎을 내는 모습. Feb 27, 2021

그렇게 분갈이를 하고 실내로 들인 후 분무를 하면서 지켜보길 한달째 고맙게도 새 잎이 나기 시작한다. 참 건강한 뿌리를 갖고 있는 아이다.

새로 나는 건강한 잎. Feb 27, 2021

이제 이 아이의 계절이 오고 있다. 외부 온도가 최저 온도 10도 이상만 되면 베란다로 내놓고 영양제도, 햇볕도 바람도, 녀석이 좋아하는 물샤워도 듬뿍 주며 또 한해를 보내볼 참이다.

Similar Posts

  • 정원에 추가로 심은 식물들

    여름이 되자 델피늄과 작약이 모두 졌고 레이디 인 레드(자엽국수나무)도 꽃이 지고 휴게라는 붉어진다. 은사초는 무럭무럭 자라고 털수염풀은 정말 쑤우욱~ 자랐다. 아직 엔들리스 썸머 수국은 어려서 꽃대만 물고 있는 상태로 정원이 조금 심심해졌다. 몇군데 더 심었으면 싶어 식물원에 갔다. 라임색과 보라색을 좀 더 넣었으면 싶었다. 제일 눈에 띈 것은 폴스타 수국. 수형이 방방하게 동그랗고 화사한 게…

  • 가을은 빠르다

    가을은 빠르다. 좋아서도 빨리 가고 끝을 향해 가기 때문에도 빠르게 느껴진다. 생일이 10월이라 가을이 되면 건강검진을 챙기고 있는데 올해는 뜻밖에 직장에서 작은 종양이 발견되어서 2주간 bowel prep을 세번에 걸쳐 하고 EUS로 종양을 제거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 덕에 몸무게가 순식간에 50kg 미만까지 떨어졌고 피곤한 나날이 이어졌다. 건강검진에서 발견되면 모든 게 불행 중 다행이긴 하다. 그렇게 수척해진…

  • 목질화 되고 있는 오스테오스펄멈

    오스테오스펄멈은 다년초이다. 아래쪽이 목질로 자라서 둔덕을 이루며 자라기도 하고 덩굴처럼 옆으로 기면서 자라기도 한다. 꽃의 색깔은 짙은 보라색과 옅은 보라색, 핑크, 자색, 노란색, 흰색, 흰색과 보라색이 섞여 있는 것 등 다양한데 우리 아이는 짙은 보라색이다. 데이지처럼 생긴 꽃이 꽤 오랫동안 피고 지고를 반복한다. 여름 더위에 힘들어한다. 직광을 피해 양지바른 곳에. 선선하게. 베란다에서 겨울을 보낸다. 섭씨…

  • 용도변경을 시작한 작업실

    작업실로 사용할 작은 건물을 지난 4월에 매입했다. 건물은 90년대에 조적 건물로 주택으로 지어졌다. 아이들이 오랫동안 살며 근처 초등학교를 다닌 흔적이 건물에 남아있는데 예를 들면 노홍철을 사랑한다는 연필 낙서가 벽지에 쓰여져 있다. 마지막에는 할아버지가 혼자 사셨다고 했고 돌아가신 이후 오랫동안 비어 있었고 이후 투자 목적으로 구매했던 매도자가 약 2년여 만에 차익을 보고 팔게 되면서 내가 구매했다….

  • 서향동백, 단정화, 칼란데아진저, 아라비안자스민 – 새 친구!

    유난히도 식물에 관심이 많아진 2021년이다. 그동안 관엽식물로 분갈이 하는 법도 익혔겠다 이제 꽃나무들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고 있다. 얼마전 통영에 다녀와서 부쩍 키우고 싶어진 동백. 하지만 나무를 여러그루 키우기엔 다소 좁은 베란다 공간이 마음에 걸렸다. 하지만 어차피 나무란 살아서 자라야 공간도 차지하는 법이니 마음에만 두지 말고 사보자 싶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식물을 사고 있다. 수형은 다소 마음에 안드는…

  • 와인잔 추천, 슈피겔라우/쇼트즈위젤

    갖고 있는 와인잔은 까베르네 쇼비뇽이나 쇼비뇽 블랑 정도 먹기에 적절한 잔이다. 여주에서 스톤헷지 그랑리저브 까베르네쇼비뇽 2016을 사왔다. 이걸 뜯으려다 보니 잔이 작은 게 좀 아쉽다. 가정에서는 아쉬운대로 보통 한두 종류 잔으로 와인을 마시기 마련이지만 사실 와인잔은 어마어마하게 다양하다. 이 참에 보르도와인 잔을 추가 영입하기로 하고 검색을 시작했다. 절친은 내게 자페라노의 것을 추천했다. 하지만 나는 그냥…